Translate

categories

2014년 5월 31일 토요일

별 2

별의 색깔 :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별빛 스펙트럼 흡수선 : 별의 대기를 구성하는 성분이 별에서 나오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만들어진 것
별의 스펙트럼형 : 별의 온도에 따라 O, B, A, F, G, K, M형으로 구분

천구 : 관측자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무한히 큰 가상력인 구면
고정된 것 : 천구의 북극, 남극, 적도
변하는 것 : 천정과 천지, 지평선

지평 좌표계 : 관측자의 징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별의 위치를 방위각과 고도로 나타내는 좌표계

방위각 : 주로 북점을 기준으로 지평선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전 각(0도 ~ 360도)
고도 : 별이 떠 있는 높이로 지평선에서 별까지의 전각 (0도~90도)
지평 좌표계의 특징
관측자 중심으로 나타내므로 관측하는 시각과 장소에 따라 방위각과 고도가 달라진다.

별 몇개씩 연결하여 신화속의 인물, 동물, 또는 사물의 이름을 붙인 것
북쪽 하늘의 별자리 : 북극성 근처의 별자리는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으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볼 수 있다. (예) 큰곰자리, 작은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등
계절에 따른 별자리 : 지구의 공전에 의해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
봄 : 처녀자리, 사자자리, 목동자리
여름 : 백조자리, 독수리자리, 거문고자리
가을 :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 자리, 물고기 자리
겨울 : 큰게자리, 작은게자리, 오리온 자리

2014년 5월 28일 수요일

별1

시차 : 하나의 물체를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보았을 때 나타나는 방향의 차이
연주 시차(p) : 지구 공전 궤도의 양끝에서 별에 그은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1/2

연주 시차가 1'인 별까지의 거리를 1pc 이라고 하고, 1pc은 약 3.26광년이다.
연주 시차로 거리를 구할 수 있는 별은 약 100pc 이내의 별
지구 공전의 증거(지구에서 별을 6개월 간격으로 관측)
1pc≒3.26LY≒206265AU

별의 밝기는 등급으로 나타낸다. 기원전 2세기경 히파르코스가 별의 밝기에 따라 6개의 등급으로 최초 분류
별의 등급 : 눈으로 보았을 때 가장 밝은 별을 1등성, 가장 어두운 별을 6등성으로 나타낸다.
등급이 작을수록 밝은 별이다.

별의 등급과 밝기차
1등성은 6등성보다 100(≒2.5^5)배 밝다.
1등급 차이는 약 2.5배의 밝기차가 난다.

별의 밝기와 거리
별의 밝기는 별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겉보기 등급(m)
별까지의 거리는 고려하지 않고, 맨눈으로 보이는 별의 밝기만으로 정한 등급
겉보기 등급이 작을수록 밝게 보이는 별이다.

절대등급(M)
모든 별을 지구로부터 10pc(32.6광년)의 거리에 두었다고 가정했을때와 별의 등급으로, 별의 실제 발기를 나타낸다.
절대 등급이 작을수록 실제로 밝은 별이다.

별의 등급과 거리 관계
겉보기 등급 - 절대 등급 = 0
10pc에 있는 별
겉보기 등급 - 절대 등급 < 0
10pc보다 가까이 있는 별
겉보기 등급 - 절대 등급 > 0
10pc보다 가까이 있는 별



배설기관과 기능

배설 : 세포의 활동 결과로 생긴 이산화탄소나 물, 요소와 같은 질소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것
배설의 의의
1 몸에 해로운 노폐물을 내보낸다
2 체내 수분량 및 무기 염류의 양을 조절하여 체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항상성 유지)

3대 영양소의 노폐물 생성

탄수화물 지방
구성 원소 : C, H, O
노폐물 : 물(H2O), 이산화탄소(CO2)

단백질
구성 원소 : C, H, O, N
노폐물 :물(H2O), 이산화탄소(CO2), 암모니아(NH2)

노폐물의 배설 기관과 방법

배설 기관 : 콩팥(신장), 땀샘, 폐
배설 방법 : 오줌이나 땀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가고, 일부는 수증기의 형태로 날숨을 통해 나간다.

이산화탄소
배설 기관 : 폐
배설 방법 : 폐에서 날숨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간다.
암모니아

배설 기관 : 콩팥(신장), 땀샘
배설 방법 : 독성이 강해 간에서 독성이 거의 없는 요소로 전환하여 오줌과 밖으로 나간다.

배설 기관 :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내어 몸 밖으로 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
배설 기관의 종류 : 콩팥(신장), 오줌관(수뇨관), 방광, 요도

콩팥(신장)
혈액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오줌의 형태로 내보내는 배설기관이다.

오줌관(수뇨관)
콩팥에서 만들어진 오줌을 방광으로 이동하는 통로

방광
오줌관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오줌을 저장하는 주머니

요도
방광에 모인 오줌이 몸 밖으로 배설되는 통로

콩팥의 구조
겉질(피질), 속질(수질), 콩팥깔때기(신우)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겉질(피질)
사구체 : 콩팥 동맥에서 갈라진 모세 혈관이 실타래처럼 뭉쳐 있는 구조
보먼 주머니 : 사구체를 둘러싸고 있는 주머니이며, 한 겹의 세포층으로 되어있다. / 세뇨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속질(수질) : 세뇨관을 포함하고 있다.
세뇨관 : 보먼 주머니와 연결된 가느다란 관으로, 모세혈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콩팥깔때기 : 콩팥의 가장 안쪽의 비어있는 공간 / 오줌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2014년 5월 15일 목요일

호흡과 에너지

호흡 : 영양소를 분해(산화)하여 생물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과정
호흡 기관의 구조와 기능:
코 :
공기를 들어 마시고 내쉬는 통로
털과 점액이 먼지나 세균을 거름
폐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알맞게 유지

기관과 기관지 :
공기가 폐로 드나드는 통로
기관은 가슴 부위에서 2개의 기관지로 갈라져 양쪽 폐와 연결
기관지 안쪽 벽에는 섬모가 있어 코에서 걸러지지 않은 먼지나 세균을 거름

폐 :
폐는 가슴의 좌우에 한 쌍이 있으며 갈비뼈(늑골)와 횡경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폐는 근육이 없어서 스스로 운동할 수 없으며, 수많은 폐포로 이루어져 있다.

폐포 :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공기 주머니
모세 혈관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난다.
표면적을 넓혀 기체 교환에 효율적인 구조

호흡 운동의 원리 : 폐에는 근육이 없어 스스로 운동하지 못하고, 갈비뼈와 횡경막의 상하 운동에 의해 가슴속의 부피를 조절하여 호흡이 일어난다.

호흡 기관에서의 공기 이동 통로 :
코 -> 기관 -> 기관지 -> 폐

호흡 운동의 원리 : 폐에는 근육이 없어 스스로 운동하지 못하고, 갈비뼈와 횡경막의 상하 운동에 의해 가슴속의 부피를 조절하여 호흡이 일어난다.

들숨과 날숨의 성분 : 호흡을 통해 산소를 흡수하고, 체내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들숨 : 갈비뼈가 올라가고 횡경막이 내려간다.
날숨 : 갈비뼈가 내려가고 횡경막이 올라간다.

기체 교환의 원리 : 기체의 농도 차이에 의한 확산 현상

산소
농도 차이 : 폐포 > 모세혈관 > 조직세포
이동 방향 : 폐포 -> 모세혈관 -> 조직세포

이산화탄소
농도 차이 : 조직세포 > 모세혈관 > 폐포
이동 방향 : 조직세포 -> 모세혈관 -> 폐포

외호흡
일어나는 장소 :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
기체의 이동 : 폐포 -산소> 모세혈관 / 모세혈관 -이산화탄소> 폐포
혈액의 변화 : 정맥혈 -> 동맥혈

내호흡
일어나는 장소 : 모세혈관과 세포 사이
기체의 이동 : 모세혈관 -산소> 조직 세포 / 조직 세포 -이산화탄소> 모세혈관
혈액의 변화 : 동맥혈 -> 정맥혈

세포호흡 : 세포에서 산소를 이용해 영양소를 분해시켜 에너지를 얻는 과정
1 호흡 장소 : 세포 속의 미토콘드리아
2 호흡 과정 : 산소를 이용하여 영양소를 완전 분해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가 나온다.
영양소 + 산소 -> 물 + 이산화탄소 + 에너지

 세포 호흡
의미 : 조직 세포에서 산소를 이용해 영양소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
과정 : 영양소 + 산소 => 물 + 이산화탄소 + 에너지
반응 온도 : 낮다(체온 정도의 범위 : 35도 ~ 38도)
반응 속도 : 느리다.
에너지 방출 : 조금씩 단계적으로 방출된다.

 연소
의미 : 연료가 산소와 결합하여 빛과 열을 내는 과정 예) 자동차 연료의 연소
과정 : 연료 + 산소 => 물 + 이산화탄소 + 에너지
반응 온도 : 높다 (400도 이상)
반응 속도 : 빠르다.
에너지 방출 : 한꺼번에 방출된다.

에너지의 이용
호흡으로 발생한 에너지는 대부분 열로 방출되어 체온 유지에 사용된다.
나머지는 몸의 성장, 근육 운동 소리 등 여러 가지 생활 에너지로 사용된다.

2014년 5월 10일 토요일

파동과 소리

파동
파동이 퍼져 나가는 현상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한 형태
파원 : 파동이 처음 발생한 곳
매질 : 파동을 전달해 주는 물질

파동의 종류
역학적 파동 : 매질의 진동으로 전달되는 파동
예) 음파(공기), 물결파 (물), 지진파(땅) 등
전자기파 : 매질이 필요없이 전파되는 파동
예) 빛, 전파, 라디오파 등

파동의 전파 : 파동이 전파될 때 매질은 파동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진동만 한다. 이 때 이동하는 것은 에너지이고, 매질은 제자리에서 에너지를 전달한다.
파동을 생기게 하는 원인 : 매질에 전달된 에너지
에너지의 전달 : 파동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에너지가 전달

마루 : 파동의 가장 높은 부분
골 : 파동의 가장 낮은 부분
진폭 : 진동의 중심에서 마루나 골까지의 거리
파장 : 마루와 마루 사이 또는 골과 골 사이의 거리

파동의 구분 : 매질의 진동 방향과 파동의 진행 방향에 다라 횡파와 종파로 구분한다.
횡파 : 물질(매질)의 진동 방향이 파동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파동
예) 빛, X선, 전파, 지진파의 S파, 물결파 등

종파 : 물질(매질)의 진동 방향이 파동의 진행 방향과 나란한 파동
예) 소리(음파), 지진파의 P파

소 : 매질이 가장 성글게 잇는 부분
밀 : 매질이 가장 빽빽하게 있는 부분
파장 : 밀과 밀 또는 소와 소 사이의 거리

P파
매질의 진동방향과 파동의 진행 방향이 같은 종파
진행 속도 5~8km/s로, 고체, 액체, 기체의 모든 매질을 통과 한다.

S파
매질의 진동 방향과 파동의 진행 방향이 직각인 횡파
진행 속도 4km/s로 고체만 통과한다.

주기(T) : 매질의 한 점이 1회 진동하는 시간
진동수(f) : 파동이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
진동수(Hz) = 1/주기[s]
(f=1/T)

파동의 반사
빛이 나아가다 성질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서 부딪쳐 방향을 바꾸어 진행하는 현상
반사의 법칙 : 입사각 = 반사각
파동의 속력, 진동수, 주기는 변하지 않는다.

파동의 굴절
빛이 진행하다가 다른 물체를 만날 때 그 경계면에서 진행방향이 꺾이는 현상

굴절 원인 : 매질에 따른 파동의 속력 차이가 나기 때문
물결파 : 깊은 곳 -> 얕은 곳
파장은 짧아지고 속력은 느려진다
(단, 진동수와 주기는 변하지 않는다.)
물의 깊이가 얕은 쪽으로 굴절된다. (입사각>굴절각)

파동의 회절
파동이 진행하다가 장애물을 만나 장애물 뒤쪽까지 파동이 전달되는 현상


2014년 5월 9일 금요일

빛의 분산과 합성

분산 :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킬 때 여러 가지 색깔의 빛으로 나누어지는 현상
백색광 : 여러 가지 색의 빛이 섞여 있어 흰색으로 보이는 빛
예) 햇빛, 백열등, 형광등 빛 등
단색광 : 특정한 한가지 색으로 보이는 빛
예) 레이저 빛, 단색 조명

빛이 분산되는 이유
빛이 굴절 될 때 색에 따라 굴절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스펙트럼
프리즘 등에 의해 빛이 분산되어 생긴 여러가지 색의 띠
연속스펙트럼 : 무지개와 같이 여러 색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띠
선 스펙트럼 : 특정한 색의 빛만 선으로 나타나는 띠

무지개 : 비가 갠 후 태양 반대편에 원형으로 나타나는 일곱 가지 색의 띠
무지개의 생성 원리 :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 -> 빛이 분산되어 무지개 생성

빛의 삼원색 : 빨간색(R), 초록색(G), 파란색(B)
빨간색 + 초록색 = 노란색
초록색 + 파란색 = 청록색
파란색 + 빨간색 = 자홍색
빨간색 + 초록색 + 파란색 = 흰색

색의 인식 : 물체가 반사 또는 투과시킨 빛의 색
반사한 빛에 의한 물체의 색 : 불투명한 물체는 물체가 반사한 빛의 색으로 보인다.
빨간색 장미와 초록색 잎
빨간색 장미 : 빨간색 빛만 반사
초록색 잎 : 초록색 빛만 반사
노란색 바나나
노란색 빛 반사 즉 빨간색과 초록색 빛이 반사 된다.

투과한 빛에 의한 물체의 색 : 투명한 물체는 물체를 투과한 빛의 색으로 보인다.
빨간색 유리 : 백색광을 빨간색 유리에 비추면 빨간색 빛만 투과시키고 다른 색 빛은 유리가 흡수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빨간색 빛만 도달한다.

광원에 따라 물체의 색이 물체가 반사하는 빛으로 보이지 않고 다른 색으로 보인다.

2014년 5월 7일 수요일

빛의 반사와 굴절

빛의 직진 : 빛이 공간 속에서 곧게 앞으로 나아가는 현상
빛의 반사 : 빛이 나아가다 성질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서 부딪쳐 방향을 바꾸어 진행하는 현상
물체를 볼 수 있는 이유 : 태양이나 전등과 같이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광원)에서 빛이 여러 방향으로 나와 물체를 비추면 물체의 표면에서 빛은 여러 방향으로 반사된다.
물체에서 반사된 빛 중 극히 일부분이 눈에 들어오게 되고 우리는 눈으로 들어온 이 빛을 보고 물체를 인식한다.
반사의 법칙 : 빛이 물체에서 반사될 때, 입시각과 반사각의 크기가 서로 같다.
정반사
특징 : 반사된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감. 빛이 반사된 곳에서만 물체를 볼 수 있다.

난반사
특징 : 반사된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나아감. 어느 방향에서나 물체를 볼 수 있다.

거울에 의한 상 : 거울에 비친 물체의 모습을 거울에 의한 상(image)이라고 한다.
실상과 허상
실상 : 빛이 실제로 지나가는 곳에 생기는 상
허상 : 빛이 지나가지 않고 거울면에서 반사된 빛을 거꾸로 연장시켰을 때 만나는 점에 의한 상

초점과 광축
초점 : 평행한 빛을 비추었을 때 빛이 한 점에 모이는 곳
광축 : 거울과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선


평면거울
평면거울에 의한 상의 작도


상의 특징 : 물체와 같은 크기,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앞뒤가 바뀌어 보인다.) 거울에서 물체가지 거리와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가 같다.

오목거울에 의한 상의 작도
광축에 나란하게 입사한 빛은 초점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반사된다.
거울 면과 광축의 교점으로 입사한 빛은 광축에 대칭인 방향으로 반사된다.
두 빛 또는 두 빛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 물체의 상이 생긴다.

오목 거울
물체가 초점 거리의 두 배 밖에 있을 경우 실물보다 작은 거꾸로 선 상이 보인다. (실상)
물체가 초점 거리의 두 배에 있을 경우 실물과 크기가 같은 거꾸로 된 상이 보인다.(실상)
물체가 초점 거리 안에 있을 경우 실물보다 큰 똑바로 선 상이 보인다.(허상)

볼록거울 
볼록거울에 의한 상의 작도
광축에 나란하게 입사한 빛은 초점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반사된다.
거울 면과 광축의 교점으로 입사한 빛은 광축에 대칭인 방향으로 반사된다.
두 빛 또는 두빛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 물체의 상이 생긴다.

볼록거울은 항상 물체보다 작고 똑바로 선 허상이 생긴다.

오목 거울의 이용 : 오목 거울은 빛을 모은다.
치과 거울, 반사 망원경, 성화 채화경, 자동차의 전조등, 등대의 탐조등 등.

볼록 거울의 이용 : 볼록 거울은 빛을 퍼뜨린다.
굽은 길의 반사경,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우측), 상점의 감시용 거울 등.

굴절 : 빛이 진행하다가 다른 물질을 만날 때 그 경계면에서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
입사각 : 입사 광선과 법선이 이루는 각
굴절각 : 굴절 광선과 법선이 이루는 각

굴절의 원인 : 빛이 통과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빛의 속력이 다르기 때문
빛이 공기 중에서 물속으로 입사할 때 : 입사각 > 굴절각
빛이 물속에서 공기 중으로 입사할 때 : 입사각 < 굴절각
굴절의 법칙 : 입사각이 커지면 굴절각도 커지고, 입사각이 작아지면 굴절각도 작아진다.

빛이 굴절하는 정도
빛이 굴절하는 경계면에서 속력의 차이가 클수록 굴절하는 정도가 커진다.
굴절하는 정도 : 물 < 유리 < 다이아몬드
굴절각 : 물 > 유리 > 다이아몬드

전반사
빛의 굴절률이 큰 물질에서 작은 물질로 진행할 때의 경계면에서 굴절되지 않고 모두 반사되는 현상

광섬유 (optical fiber)

굴절에 의한 현상
물속에 있는 동전이 떠 보인다.
물체가 수면에서 꺾여 보인다.

렌즈의 모양과 빛의 굴절
볼록 렌즈
광축에 나란하게 입사한 빛은 렌즈를 통과하면서 가운데로 모인다.
볼록렌즈의 중심에 입사한 빛은 굴절하지 않고 똑바로 진행한다.

오목 렌즈
광축에 나란하게 입사한 빛은 렌즈를 통과하면서 바깥쪽으로 퍼져 나간다.
오목렌즈의 중심에 입사한 빛은 굴절하지 않고 똑바로 진행한다.

볼록 렌즈에 의한 상의 작도
물체가 초점 거리의 두 배 밖에 있을 경우 실물보다 작은 거꾸로 선 상이 보인다. (실상)
물체가 초점 거리의 두 배 안에 있을 경우 실물보다 큰 거꾸로 선 상이 보인다. (실상)
물체가 초점 거리의 두 배에 있을 경우 실물과 같은 크기의 거꾸로 선 상이 보인다. (실상)
물체가 초점 거리에 있을 경우 상이 생기지 않는다. 
물체가 초점 거리 안에 있을 경우 실물보다 큰 똑바로 선 상이 보인다. (허상)

상의 특징 : 물체가 초점 거리보다 멀리 있을 때 : 축소, 같은 크기, 확대된 거꾸로 선 상
                 물체가 초점 거리보다 가까이 있을 때 : 실물보다 큰 바로 선 상

오목렌즈에 의한 상의 작도

언제나 실물보다 작은 똑바로 선 상이 보인다. (허상)


2014년 5월 4일 일요일

태양계

내행성
: 지구의 공전 궤도보다 안쪽에서 공전하는 행성
  예) 수성, 금성

외행성
: 지구의 공전 궤도보다 바깥쪽에서 공전하는 행성
예)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내행성의 관측









서방 최대이각에 내행성이 있을 경우 태양보다 먼저 뜨고 진다.
(새벽녘 동쪽 하늘에서 하현 모양의 내행성을 볼 수 있다.)

동방 최대이각에 내행성이 있을 경우 태양 이후에 뜨고 진다.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상현 모양의 내행성을 볼 수 있다.)

내행성들은 자정에 보이지 않는다.

외행성의 관측


합의 위치에서는 외행성이 태양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충에서는 보름형태로 외행성이 보인다.
서구는 동쪽과 남쪽하늘에서 자정과 6시에 보이며 태양보다 6시간 먼저 뜨고 진다.
동구는 남쪽과 서쪽하늘에서 18시와 자정에 보이며 태양보다 6시간 늦게 뜨고 진다.
충은 태양 정반대방향에서 24시간 내내 보이며 태양보다 12시간 느리거나 빠른시간에 뜨고 진다.

내행성 관측의 특징
내합 -> 외합 : 모양과 크기 작아진다. (시직경 작아진다.)
외합 -> 내합 : 모양과 크기 커진다. (시직경 커진다.)

내행성
동쪽하늘(새벽), 서쪽하늘(초저녁) 에서만 관측가능
남쪽하늘, 한밤중(자정)에는 관측 불가능

외행성
서구 위치에서는 동쪽하늘(자정), 남쪽하늘(새벽)에서 관측
동구 위치에서는 남쪽하늘(초저녁), 서쪽하늘(자정)에서 관측

행성의 분류
지구형 행성
크기 : 작다
질량 : 작다
자전주기 : 길다
밀도 : 크다
위성 수 : 적다
고리 : 없다

목성형 행성
크기 : 크다
질량 : 크다
자전 주기 : 짧다
밀도 : 작다
위성 수 : 많다
고리 : 있다

수성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 달보다 약간 크다.
표면에 많은 운석 구덩이가 있다. 일교차가 매우 커서 낮에는 표면 온도 400도 밤에는 -170도 정도

금성
지구와 크기 및 질량이 비슷함
두꺼운 이산화탄소 대기층 때문에 온실효과가 매우 큼

지구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대기와 액체 상태인 물이 있음
생명체가 존재하는 유일한 행성

화성
물이 흘렀던 흔적이 보이는 지형이 존재
표면은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지구의 사막처럼 보인다.
극지방에는 드라이아이스와 얼음으로 이루어진 흰색의 극관이있다.

목성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짐
빠르게 회전하고 있으며 대적점과 나란한 줄무늬가 있다.
62개 이상의 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4개(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는 소형 망원경으로도 관찰 가능

토성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행성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짐
얼음과 암석 부스러기로 이루어진 고리가 있다.
61개 이상의 위성이 있다.

천왕성
대기 중에 메테인의 영향으로 푸르스름하게 보인다.
자전축과 공전축이 거의 수직을 이루고 잇다.

해왕성
태양계에서 가장 바깥쪽에 있는 행성
크기와 색깔은 천왕성과 비슷하고, 표면에는 대흑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밖의 천체들
왜소행성 : 태양 둘레를 공전하는 둥근 모양의 천체
소행성 : 모양이 불규칙한 천체로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태양주위를 공전
혜성 : 태양 주위를 타원이나 포물선 궤도로 움직이고 주로 얼음과 먼지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다.
유성과 운석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밝은 빛을 내면서 증발하는 것이 유성, 타고 남은 부분이 지상에 떨어지는 것이 운석




2014년 5월 2일 금요일

태양과 태양계

태양의 물리적인 특성
표면온도 : 약 5800K로 많은 양의 열과 빛을 우주 공간으로 방출한다.
물리적 성질 : 지름 약 140만km, 질량은 약 2 * 10^30kg으로 지구 질량의 약 33만배
태양의 주성분은 수소 기체이다.
태양은 지구에서 생물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에너지를 제공한다.

태양의 표면인 광구에서 일어나는 현상
쌀알무늬
광구 아래에서의 대류 활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무늬로 크기는 약 1000km 정도이다.






흑점의 이동 : 동에서 서로 흑점의 위치가 변하는 것은 태양이 자전하기 때문이며, 흑점을 관찰하여 태양의 자전 주기를 알 수 있다.

태양의 자전주기 : 위도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27일 정도이다.
흑점 수의 증강 주기 : 약 11년
흑점의 수가 많아지는 극대기일 때는 태양의 활동이 활발하여 지구의 고위도 지방에서는 오로라 발생, 인공위성 고장, 전파통신이 방해를 받는다. (델린저 현상)

채층
광구 바깥쪽으로 두께가 수천 km되는 붉은 대기층
걔기 일식 때 관측할 수 있다.
채층의 온도는 약 4500 ~ 10000K 정도이며 높이에 따라 점차 증가한다.

홍염
채층에서 코로나 영역에 걸쳐 나타나는 고온의 가스 기둥
흑점 주변에서 잘 발생하며 태양의 가장 자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다.
홍염의 형태는 다양하며 온도는 1만~2만K 정도로 100만 km까지 솟아오르기도 한다.

플레어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태양의 표면에 나타나는 강한 폭발
흑점 주변에서 일어나며 태양을 이루고 있는 물질이 우주 공간으로 격렬하게 방출되는 현상.

코로나
채층 바로 위쪽의 상층 대기이며 태양 반지름의 수배 되는 거리까지 뻗어 있다.
매우 엷은 가스층으로 온도는 100만K 이상이며 개기 일식 때 관측할 수 있다.

망원경의 종류
광학 망원경
천체에서 오는 빛을 관측하는 망원경
굴절 망원경 : 대물렌즈(볼록렌즈), 접안렌즈(볼록렌즈)로 이루어져 있다.
반사 망원경: 대물렌즈(오목거울), 접안렌즈(볼록렌즈)로 이루어져 있다.

망원경의 구조
대물렌즈 : 빛을 모으는 부분
가대 : 경통을 움직이는 부분
경통
파인더(보조 망원경) : 대상을 쉽게 찾도록 도와주는 보조 망원경
접안렌즈 : 상을 확대하는 부분
삼각대 : 경통과 가대를 지지하는 부분

망원경의 설치 순서 및 조작 방법
1 평평한 곳에 삼각대를 놓고 가대와 균형추를 부착한다.
2 가대 위에 경통을 올려 놓은 후 경통 홀더를 닫고 고정한다.
3 파인더를 부착하고 접안부에 접안렌즈를 끼운 후 균형추를 이용하여 망원경의 균형을 맞춘다.
4 주 망원경 시야의 중앙에 보이는 물체가 파인더의 십자선 중앙에 보이도록 파인더를 조절한다.
5 초점을 조절하면서 접안렌즈를 통해 천체를 관측한다.

망원경의 성능
대물렌즈의 구경(=지름)이 클수록 많은 양의 빛을 모을 수 있다.
접안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을 수록 배율이 커진다.

천체를 관측하기 좋은 장소의 조건
연중 날씨가 맑은 지역이나, 대기의 영향이 적은 높은 산 지역, 또는 도시의 불빛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곳,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태양계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 태양과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 몇개의 왜소행성, 백만 개 이상의 소행성, 무수히 많은 혜성과 유성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태양계의 거리
태양계 안에서의 거리는 천문단위 (AU : Astronomical Unit)로 나타낸다.
1AU는 지구상에서 태양까지의 평균 거리로 약 1억5천만 km이다.
태양계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행성인 해왕성까지의 거리는 약 30AU이다.

행성의 공전궤도 크기
수성
상대적 거리 : 0.38
실제거리(백만km) : 58
금성
상대적 거리 : 0.72
실제거리(백만km) : 108
지구
상대적 거리 : 1
실제거리(백만km) : 150
화성
상대적 거리 : 1.52
실제거리(백만km) : 228
목성
상대적 거리 : 5.20
실제거리(백만km) : 779
토성
상대적 거리 : 9.56
실제거리(백만km) : 1434
천왕성
상대적 거리 : 20
실제거리(백만km) : 3000
해왕성
상대적 거리 : 30
실제거리(백만km) : 4500

행성의 공전 궤도 크기
행성의 공전 궤도의 상대적인 크기는 지구에서 멀수록 더 커진다.
태양에서 가장 멀리 있는 해왕성은 가장 가까운 수성에 비해 약 78배 멀리 위치하고 있다.


태양과 달

달을 볼 때 관측자의 눈과 달의 양 끝을 연결한 선 사이의 각이 달의 시지름이다.





고지(A) : 높은 산과 운석 구덩이가 많이 분포하는 곳으로 달 전체 면적의 70%를 차지한다.
바다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며, 구성 암석의 나이가 많다.
바다(B) : 용암이 낮은 지대로 흘러 들어가 냉각되면서 만들어진 부분으로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탄하고 낮은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다른 곳에 비해 운석 구덩이가 적게 분포한다.
운석 구덩이 : 우주에서 날아온 운석이 달 표면과 충돌하면서 만들어진 구덩이이다.


대기와 물이 없기 때문에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공기 저항이 없다, 운석이 피해 입지 않은 채 충돌한다. 지구의 경우는 운석들이 피해를 입어 별똥별이 된다.)
달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1/6이다.
달의 표면 온도는 낮에는 매우 높고, 밤에는 매우 낮아 하루 동안의 기온차가 매우 크다.

태양의 크기 측정
개기 일식을 이용한 방법










바늘 구멍을 이용한 방법











태양의 반지름은 약 700000km 
지구 반지름의 109배 정도이며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보다도 더 크다.
태양은 매우 크지만 멀리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지구 크기의 약 1/4인 달과 같은 크기로 보인다.


2014년 5월 1일 목요일

지구의 모양과 크기

지구는 서에서 동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돈다.
지구의 모양 : 지구의 모양은 둥글다.
지구의 모양이 둥근 증거들
1 고위도 지방으로 갈수록 북극성의 고도가 높아진다.
2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방의 위도와 같다.
3 항구로 들어오는 배는 돛대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4 동쪽으로 갈수록 해 뜨는 시각이 빨라진다.
5 한쪽 방향으로 계속 항해하면 출발한 지점으로 되돌아 온다.
6 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시야가 넓어진다.
7 북반구에서 남반구 지방으로 여행할 때, 밤하늘에 보이는 별자리의 모습이 다르게 보인다.

원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은 비례식이 성립한다.
7.2 : 360 = 925km : 2piR
지구의 반지름 R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2piR * 7.2 = 925km * 360
R = (360 . 925) / (2pi . 7.2)
에라토스테네스가 측정한 지구 둘레는 약 46,250km 정도이고, 오늘날 측정한 값은 약 40,000km로 약 15%의 오차가 있다.

지구모형의 반지름 측정
가정
: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다
  태양광선은 평행하게 입사한다.
측정값
: 두 막대 사이의 거리(L)
  막대 BB'와 그림자
  끝이 이루는 각(D')
지름(R)
D : 360 = L : 2piR
R = (360/2pi) * (L/D)